Surprise Me!

[세계를 보다]앞마당에 바닷물이…기후 위기 현실로

2021-11-01 8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산불과 폭염, 대홍수와 극심한 가뭄까지. 재앙적인 기후 재난 뉴스가 유독 많습니다. <br> <br>지구 온난화로 대변되는 이런 기후 위기에 대처하지 못한다면 인류가 7천만 년 전 멸종한 공룡처럼 될 수 있다는 섬뜩한 경고도 나옵니다. <br> <br>전세계 지도자들이 기후위기를 의논하기 위해 영국 글래스고에 모였는데, 기대를 걸어볼 수 있을지. <세계를 보다> <br>유주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바닷물이 집마당 곳곳으로 흘러들어갑니다. <br> <br>지구 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10년 전 1만 2천 명이 살던 섬에는 500여 명만 남았습니다. <br> <br>[메몬 다우드 / 파키스탄 카로 찬 주민] <br>"바닷물이 우리 집 방향으로 흐릅니다. 물을 막을 방법이 없어 떠나야 해요." <br> <br>274개 섬이 모여있는 호주의 토러스 해협. <br> <br>저지대에 만들어진 공동묘지엔 물이 차기 시작했고, 주민들은 정부를 향해 섬을 지켜달라는 소송을 냈습니다. <br> <br>[호주 토러스 해협 주민] <br>"모든 사람들이 이 곳을 떠나겠죠, 위급 상황입니다." <br> <br>지금 속도라면 2100년쯤 지구 온도가 2.7도 상승하는 건데, 6년 전 파리기후협약을 통해 정한 1.5도를 훌쩍 뛰어넘습니다. <br> <br>지구 온도가 지금보다 3도만 올라도 영국 버킹험 궁전은 3층까지 물에 잠기고, 미국 링컨기념관 주변은 바다로 변해버렸습니다. <br><br>쿠바의 아바나는 아예 해저도시가 됐습니다. <br> <br>위기의 시계는 빨라지고 있는데 각국의 생각은 다 다릅니다. <br> <br>당장 온실가스 배출량 1위 중국과 4위 러시아는 유엔 기후 총회에 불참했습니다. <br> <br>[안토니오 구테흐스 / UN 사무총장] <br>"(지구의) 열기는 계속 켜져있는데, 우리가 필요한 리더십은 꺼져있습니다. 이번 보고서는 <천둥 같은 경종>을 울리는 것입니다." <br> <br>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환경 오염을 비판하면서도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중국에서 들어오는 <더러운 철강>이 미국 시장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…" <br> <br>정작 자신과 수행원들은 G20 회의 동안 80대가 넘는 승용차를 이용해 눈총을 샀습니다. <br> <br>인구보다 소가 많은 목축업 대국 호주는 미국과 EU가 주도하는 메탄 감축협약에 반기를 들었습니다. <br> <br>천연가스, 석탄, 소와 양떼 등으로부터 나오는 메탄은 이산화탄소에 이어 기후 변화를 야기하는 두 번째로 큰 요인으로 꼽힙니다. <br> <br>[스콧 모리슨 / 호주 총리] <br>"우리는 우리 농업 부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" <br> <br>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영국 가디언은 미국의 기후위기 악당 12명을 선정했는데 환경위기를 부정하는 광고나 뉴스를 내준 회사와 CEO들이었습니다. <br> <br>기후 변화의 피해는 고스란히 미래세대의 몫입니다. <br> <br>2020년생은 1960년생과 비교해 평생 동안 6.8배 이상의 폭염을, 산불은 2배, 가뭄은 2.6배, 홍수는 2.8배 더 경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유엔총회장 연단에 오른 사이버 공룡 프랭키. <br> <br>'멸종을 선택하지 말라'며 인류에게 섬뜩한 경고를 합니다. <br> <br>[프랭키 / 사이버 공룡] <br>"스스로를 멸종시킨다? 7천만 년 동안 내가 들은 것 중 가장 바보 같은 일입니다. 우리는 소행성이라도 있었지만 당신들의 변명은 뭡니까?" <br> <br>세계를 보다 유주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기열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유주은 기자 grace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